전화번호안내

02-412-4768

002-412-4767

진료시간안내

공휴일/일요일 휴진

진료시간보기

  • 평 일 09:00 - 18:30
  • 토 요 일 09:00 - 13:00
  • 점심시간 13:00 - 14:30

강좌

Home _ 칼럼강좌 _ 강좌

제목

여름철 아기 땀띠 예방법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fjrigjwwe9r3edt_lecture:conts
유아의 땀샘 개수는 성인과 같지만 몸이 작고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땀샘이 집중된 형태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의 땀샘은 아직 미성숙해 성인과 같이 작동하지 못하므로 땀띠가 생기기 쉽다.

자고 있는 아기

아기 땀띠가 잘 생기는 부위는 어디?

아기에게 땀띠가 생기기 가장 쉬운 부위는 기저귀로 덮여 있는 엉덩이와 허리 부위이다. 기저귀는 소변과 대변으로 인해 세균이 번식하기 쉽고, 허리의 주름 부분은 통기성이 나빠 염증이 생기기 쉽다. 또 아기의 목 주위는 땀이 많은 데다 주름이 있어 땀띠가 자주 나는 부위이다. 이마나 귀 주위, 뒤통수도 땀에 젖은 머리카락이 피부에 달라붙어 땀띠를 유발하지만, 머리카락에 가려져 잘 보이지 않으므로 악화하기 쉽다.

특히 거의 누워서 생활하는 신생아 시기는 피부가 계속 이불에 닿아 있어 땀이 마르기 어렵기 때문에 땀띠가 나기 쉽다. 이 밖에도 구부린 상태인 양 팔꿈치와 무릎의 안쪽은 땀이 잘 마르지 않아 땀띠가 나거나 가려움이 생길 수 있다.

생활 속 아기 땀띠 예방법은?

당연한 말이지만 땀띠 예방의 왕도는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땀이 난 채로 두는 것이 땀띠의 원인이므로 즉시 거즈 수건 등으로 닦아 주어야 하며 이때 문지르지 말고 살짝 피부에 대어 땀을 흡수시키는 것이 좋다. 땀이 많이 났을 때는 욕조 목욕보다 샤워로 땀을 씻어 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유아는 머릿속까지 땀이 많이 나므로 특히 여름철에는 목과 귀 주위에 머리카락이 닿지 않도록 짧게 자르고, 머리카락이 긴 여아의 경우는 깔끔하게 묶어 정돈해 주는 것이 좋다.

땀을 잘 흡수하고 통기성이 좋은 순면 소재의 옷을 입히는 것도 중요하다. 여름철에는 덥다고 옷을 입기 싫어하는 아이들도 있지만, 벗고 있기보다 땀을 흡수하는 옷을 입고 있는 것이 땀띠 예방에는 더욱 효과적이다. 옷과 속옷은 자주 갈아 입히고 매일 세탁해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유아가 있는 집의 실내 온도는 실외보다 3~6℃ 정도 낮은 것이 좋으며, 대체로 22~26℃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아기 침대는 에어컨이나 선풍기의 바람이 직접 닿지 않는 곳에 놓아야 하며, 취침 타이머를 활용해 야간이나 새벽에 온도가 오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땀띠와 혼동되는 유아 피부질환은?

피부가 약한 유아는 다양한 피부질환이 생기기 쉽다. 눈으로 봐서는 땀띠와 구분이 어려운 질환이 많으므로 각 질환별 특징을 알아두고 조기에 치료받는 것이 중요하다.

콜린성 두드러기

열 때문에 발생하는 알레르기성 피부 질환인 콜린성 두드러기는 주로 목욕을 한 후 붉고 오톨도톨하게 올라오는 형태로 땀띠와 매우 비슷하고 발생하는 시점도 비슷해 혼동하기 쉽다. 땀띠와는 다르게 몸이 식으면 자연스럽게 사라지므로 구분이 가능하다.

유아 습진

생후 3개월 정도까지 잘 나타나며 볼이나 이마에 특히 잘 생긴다. 신생아 여드름, 유아 지루 피부염 등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증상이 반복된다면 아토피성 피부염일 가능성도 있으나 보통 2세 이전에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수두

피부 발진과 함께 발열을 동반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발진이 온몸으로 번지면서 물집으로 면한다면 수두일 가능성이 높다.

벌레 물림

모기에 물린 자국은 땀띠와 다르지만, 진드기 등에 물렸다면 땀띠와 비슷한 모양의 발진이 생길 수 있다. 특히 여름은 벌레에 물리기 쉬운 계절이라 땀띠와 혼동하기 쉽다.

이와 같은 피부 질환과 땀띠를 구별해 적합한 치료를 하기 위해서는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단순한 땀띠인 경우라도 아기가 피부를 무의식적으로 긁어 염증이 유발되면 치료가 까다롭고 치료 기간이 길어질 수 있으므로 조기에 병원을 찾아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출처: 건강이 궁금할 땐, 하이닥 (www.hidoc.co.kr)
     

칼럼강좌